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연합뉴스TV 언론사 이미지

한중 관계 '훈풍'…관광·면세·뷰티 기대감 '쑥'

연합뉴스TV 김도헌
원문보기

한중 관계 '훈풍'…관광·면세·뷰티 기대감 '쑥'

속보
통상본부장 "미 상황 굉장히 유동적…모든 가능성"
[앵커]

이재명 정부의 '실용 외교'에 그간 얼어붙었던 한·중 관계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높습니다.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들을 맞이하는 유통가의 움직임도 분주합니다.

김도헌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시내 한 면세점에 줄이 길게 늘어섰습니다.


BTS 완전체 복귀 소식에 단체로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들입니다.

<중국인 관광객> "(왜 한국에 왔나요?) BTS를 좋아해서요.

(한국에 또 놀러 오고 싶나요?) 네. 또 오고 싶습니다."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끊기면서 급감했던 중국인 관광객 수는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156만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 늘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통화가 있었고 오는 3분기에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비자를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정부 계획도 있어 하반기에는 더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시진핑 주석이 11월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하면 중국인들의 한국 관광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더 낮아질 것으로 여행업계는 기대합니다.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면세업계의 실적 개선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한솔 / 신세계면세점 영업팀 파트너> "관광객들이 늘어나는 게 실제로 체감이 되니까 고객들 맞이할 생각에 기뻐서…더욱 많이 방문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기업들의 중국 시장 회복에도 속도가 붙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저가 로드숍 위주의 쇼핑을 선호하는 관광객들의 시선을 끌어야 하는 것은 숙제입니다.

<김주덕 /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 "관광객들도 면세점보다는 다이소든지 올리브영에서 중저가 제품들을 많이 구매를 하는 것 같아요. 그런 쪽에 많이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죠."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중국인 관광객들의 선호를 반영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유통업계의 움직임이 분주해지는 모습입니다.

연합뉴스TV 김도헌입니다.

[영상취재기자 김세완]

[영상편집 김미정]

[그래픽 남진희]

#중국 #관광 #한중관계 #면세점 #뷰티 #관광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도헌(dohon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