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캐나다 현지 연결해서, 취재기자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정상빈 기자, 일정이 촉박한데, 이 대통령이 지금 다른 나라들 하고 정상회담을 진행하고 있습니까?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약 2시간여 전 쯤, 이곳 캘거리 공항에 도착했는데요.
전해드린 대로, 기내에서는 출입기자단과 함께 간담회를 진행했고, 지금 현지 시각이 오후 3시를 지나고 있는데, 이재명 대통령은 곧바로 정상회담 일정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실은 앞서, 캘거리에 도착한 당일, 곧바로 G7 회의 초청국들과의 양자회담을 예고했는데요.
통상 외교적 문제와 경호상의 이유로 회담을 마치고 난 뒤에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는 만큼, 아직까지는 회담 시각이나 상대 국가가 정확히 확인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다만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뒤 정상 간의 통화를 나눴던 호주를 비롯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라이나 정상들과의 양자회담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저녁 시간에는 캐나다 앨버타주 주지사의 환영 리셉션, 캐나다 총독이 주재하는 공식 만찬에 김혜경 여사와 함께 참석할 예정입니다.
◀ 앵커 ▶
사실 이 대통령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나 일본 이시바 총리하고 정상회담 했느냐가 가장 관심사인데, 아직 일정이 나온 지는 않은 것 같네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과 주요국 정상들과의 만남은 하루 뒤 G7 정상회의 장소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 G7 정상들과 초청국 정상들이 '에너지 안보'를 주제로 함께 오찬을 겸한 확대 세션을 가질 예정입니다.
이 일정 전후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 등 주요 정상들과 양자회담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앞서 두 정상과의 회담 일정에 대해 "다자회의 특성상 가변성이 많다"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는데요.
일정이 확정되는 데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찬 겸 확대 세션에서 에너지를 주제로 두 차례 발언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AI 에너지 연계'를 주제로 한국의 역할과 노력을 강조할 계획입니다.
주요 정상들과의 연쇄 회담에 이어 두 차례 공식 연설까지, 만 이틀이 안되는 시간 동안 압축적으로 일정을 소화 할 예정인데, 이 대통령은 이번 G7 회의 참석으로 12.3 비상계엄 이후 공백상태였던 정상외교 복원을 알리는 동시에, 산적한 외교 현안들을 풀어야 하는 과제도 짊어지게 됐습니다.
지금까지 캐나다 캘거리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정상빈 기자(jsb@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